위 좌측 사진을 보면, 단열과는 완전히 거리가 먼 현관문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실내에 중문(현관과 거실 사이에 문)이 하나 더 있긴 하지만 겨울이 되면 우측 사진에 보이는 공간은 바깥과 별다른 차이가 없이 썰렁할 뿐 아니라 문 내부 전체에 이슬이 맺혀서 흘러내립니다.
작년에는 빌트론 단열재만 문에 붙였었는데, 올해는 검색 중에 현관문 리폼키트라는 것이 있길래 주문하여 붙여 보았습니다.
- 고급스러운 정도는 아니지만 봐 줄만 합니다.
- 재질은 말랑말랑한 편이라서 가위로 자르고 커터 칼로 자르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 부착면에는 은박이 있습니다.
- 접착력은 꽤 강한 편입니다.
좌측 사진과 수직으로 긴 요철이 있어서 파인 곳마다 1cm 혹은 0.5cm 두께의 양면 은박 단열재를 붙여준 후 그 위에 리폼키트를 덧대었습니다.
사진 우측에 보듯이 좀 빈틈이 있고, 여전히 노출되어 있는 금속 부분이 있어서 아쉬움은 있지만 이전과 달리 어느 정도 단열 효과는 있는 듯합니다.
일반적인 아파트의 현관문이라면 훨씬 쉽게 시공할 수 있을 거 같고, 5T 두께의 단면 접착 빌트론 같은 것을 붙이고 그 위에 리폼키트로 마감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경험나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골 주택 난방 개선기 (0) | 2023.01.07 |
---|---|
3kW 태양광 사용기 - 앞으로 더 이득 (0) | 2022.12.31 |
샤오미 에어펌프 공기주입기 분해 수리 (6) | 2022.11.12 |
미세먼지가 나빴던 기간의 공기청정기 효과 검증 (0) | 2018.03.02 |
현재 실내와 실외의 초미세 먼지 차이 (0) | 2017.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