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제가 클리앙에 쓴 글을 가져온 것입니다.
* 요약
- 인버터에 표시되는 발전량 특정 20개월(2021.03~2022.10)간 평균한 결과 월발전량은 평균 332kWh/월(일 11kWh 수준 = 3kWh 최대 용량 시 3.6시간 발전한 수준)로 특별히 이상은 없었습니다.
- 전기요금 고지서에 표시되는 상계처리되는 전력은 태양광발전 중 자가 사용 후 남은 잉여분(참고: http://www.keaj.kr/news/articleView.html?idxno=3714)이므로, 총 발전량은 인버터에 표시되는 것을 참고해야 합니다. 1년에 몇 달 정도는 상계처리가 많이 되어 과금 대상 전력량이 0가 되기도 합니다.
- 특정 20개월 인버터 발전량을 기준으로 전기요금 고지서 상에 상계처리되지 않은 사용량은 대략 월 평균 163kWh로 추정됩니다. 그러므로, 고지서에 표시된 전력사용량에 평균 163kWh값을 더해야 실제로 사용한 전력량을 알 수 있습니다. 특정 20개월간 고지된 전력 사용량 월평균이 308kWh가량 되니까, 163kWh를 더하면 실제 소비전력량의 월 평균값은 471kWh가 되며 현재 요금표에 의하면 9만5천50원이 나옵니다. 특정 20개월간 전력 요금 평균 16,000원을 냈으니까 작년의 요금 인상을 대략 감안하더라도 월 7만원 이상 절약한 셈입니다. 그렇다면 21개월이면 아래 설치 자부담 150만원이 회수가 되는 셈입니다.
1) 설치비용
- 총 595만원
- 정부보조 315만원 + 2018년 그린홈100만호 보급 지방지원금 130만원 + 자부담 150만원
2) 설치위치
- 남쪽에 아주 높지는 않지만 산이 있어서 해가 일찍 지는 편입니다. 좌측이 저희 태양광패널입니다.
3) 최근 2년간 전기요금
최근 2년 평균 전기 사용량 및 발전량
- 2021년 - 월평균 사용량 341kWh / 월평균 송전량 157kWh
- 2022년 - 월평균 사용량 285kWh / 월평균 송전량 177kWh
=> 위 송전량 값은 고지서에 나온 값을 기준으로 한 것일 뿐이고, 내부적으로 소비된 발전량이 있으므로 실제로는 훨씬 발전이 많이 이루어졌습니다.
총 전기 소비량 = (인버터 발전량 - 한전 송전량) + 한전 수전량
아래 표에서는 한전 송전량과 한전 수전량만을 기준으로 계산한 것이므로, (인버터 발전량 - 한전 송전량)는 누락된 상태입니다.
2년간 발전량 및 요금표(고지서 바탕으로 환산, 계량기에 잡히지 않은 내부 태양광 발전 소비량 제외 시)
청구년월 | 청구 사용량 (kWh) |
총사용량 - 청구사용량 (송전량) |
총사용량 | 청구요금 (전기만) |
태양광 없을 때 예상 요금 |
2022.12 | 179 | 136 | 315 | 27,320 | 59,310 |
2022.11 | 192 | 131 | 323 | 29,070 | 61,310 |
2022.10 | 93 | 192 | 285 | 16,530 | 51,780 |
2022.09 | 148 | 144 | 292 | 21,360 | 37,517 |
2022.08 | 289 | 92 | 381 | 37,850 | 44,771 |
2022.07 | 92 | 204 | 296 | 15,140 | 28,497 |
2022.06 | 0 | 232 | 232 | 4,540 | 26,249 |
2022.05 | 0 | 212 | 212 | 4,020 | 22,493 |
2022.04 | 0 | 233 | 233 | 4,460 | 26,437 |
2022.03 | 72 | 185 | 257 | 9,580 | 29,685 |
2022.02 | 55 | 223 | 278 | 8,420 | 33,526 |
2022.01 | 175 | 140 | 315 | 20,860 | 40,293 |
2021.12 | 127 | 154 | 281 | 15,400 | 35,903 |
2021.11 | 209 | 142 | 351 | 28,220 | 46,877 |
2021.10 | 303 | 94 | 397 | 47,160 | 55,291 |
2021.09 | 283 | 102 | 385 | 39,210 | 53,096 |
2021.08 | 331 | 85 | 416 | 41,170 | 50,000 |
2021.07 | 195 | 134 | 329 | 20,900 | 33,394 |
2021.06 | 159 | 175 | 334 | 17,300 | 43,768 |
2021.05 | 86 | 209 | 295 | 9,740 | 36,635 |
2021.04 | 0 | 281 | 281 | 5,590 | 34,074 |
2021.03 | 158 | 153 | 311 | 16,580 | 39,561 |
2021.02 | 143 | 204 | 347 | 15,990 | 46,146 |
2021.01 | 218 | 146 | 364 | 29,700 |
49,225
|
(송전량은 총사용량에서 청구사용량을 뺀 값일 뿐이고, 실제로 한전에 송전된 양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실제보다 총사용량은 훨씬 작게 표시되며, 자가 소비한 발전량(월평균 163kWh: 아래 4)의 내용에 근거)을 포함하면 대략 450~500kWh/월 사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태양광 설치를 하지 않았다면 현재 요금표 기준 8만8천~10만4천/월이 과금되었을 것 같습니다. 태양광 설치 이전의 요금을 여쭤보니 5~6만원 내셨다고 합니다.
[2023-07-11 내용 보충]
최근 댁내 차단기에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는 클램프 방식의 제품(시하스)을 추가했습니다. 구형 인버터라서 태양광발전량 을 올라가지 않고 아직 원격으로 볼 수는 없고, 다음 표를 보면 태양광발전 중 자체 소비량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8일과 9일에는 흐리고 비가 온 관계로 발전하여 보낸 전력량이 적습니다. 10일에도 오전에 소나기가 내리고 오후부터 발전을 했습니다.
단위: kWh
|
전력 소비 총량
(시하스 제품)
|
파워플래너
(수전량) |
파워플래너
(발전량) |
발전량 중 자가 소비량
(전력 소비 총량 - 수전)
|
실제 발전량(추정)
|
7월6일(목)
|
16.02
|
8.026
|
5.146
|
7.994
|
13.14
|
7월7일(금)
|
14.1
|
6.709
|
6.766
|
7.391
|
14.157
|
7월8일(토)
|
16.26
|
10.776
|
0.620
|
5.484
|
6.104
|
7월9일(일)
|
13.44
|
9.336
|
0.264
|
4.104
|
4.368
|
7월10일(월)
|
14.02
|
8.633
|
8.239
|
5.387
|
13.626
|
파워플래너(앱)에서 볼 수 있는 발전량은 가정에서 자가 소비하고도 남은 전기를 한전으로 보낸 값을 나타냅니다.
4) 태양광발전기 인버터에 표시된 발전량
설치하기 전에 기대했던 것은 월평균 250kWh 발전이었는데, 발전기 제어반에 있는 발전량을 통계내 봐야만 정확히 태양광발전량을 알 수가 있겠습니다(글 가장 하단의 9. 참조해 보면 20개월간 월 평균 332kWh로 발전은 잘 되고 있습니다).
- 2021.3~2022.10까지 20개월간의 발전기 제어반의 발전량을 적어놓은 것이 있어서, 한달간 실제 전기 사용량 평균을 계산해 보았습니다.
- 발전량 중 한전에 송전이 안되고 사라진 전력량(계량기에서 알 수 없는 내부 소비된 발전량)은 20개월 3,265kWh로 월평균 163kWh입니다.
- 한전에서 파악한 월 전력량은 20개월간 6,161kWh로 월평균 308kWh를 쓴 것으로 나옵니다.
- 위 두 값을 더하면 실제로 소비된 월 평균 전력량을 추산할 수 있겠고, 163+308=471kWh로 이렇게 전기를 많이 쓰고 있었군요??? 이 값이 맞는 것인지 모든 가전 제품 소비 전력을 다시 체크해 봐야겠지만, 태양광 설치 이전에는 5~6만원이 나왔다고 하니 틀린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 후로 냉장고를 2개에서 1개로 줄이고 하긴 했지만, 9kg건조기, 인덕션을 추가했고 에어프라이어와 서큘레이터, 공기정화기 등 상시 전원 사용량이 늘어났기 때문에 총량은 조금 준 정도일 것 같습니다.
=> 추가: 가동 중인 가전 제품들의 스펙에 따라 계산해 보았습니다. 계산해 보니까 건강을 위해 가동하는 장비들이 엄청나군요... 가랑비에 옷 젖는줄 모른다는 말이 여기에 해당하는 듯합니다. 건강 관리용으로 소소하게 추가한 것들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였습니다.
분류 | 제품 | 소계 |
주방가전 | 양문형 냉장고 40.3kWh/월 양문형 김치냉장고 12kWh/월 구형 김치냉장고 13.1kWh/월 인덕션 45kWh/월(추산) 밥솥 10kWh/월(추산) |
120.4kWh/월 |
생활가전 | 드럼 세탁기 5kWh/월(추산) 드럼 건조기 13kWh/월(추산) 55인치 나노LED TV 50kWh(10시간 시청 시) 가스보일러 60kWh |
128kWh/월 |
건강가전 | 샤프 공기청정기 36kWh 발뮤다 공기청정기 36kWh 샤오미 가습기 30kWh 신일 서큘레이터 22kWh 온수매트 2대 25kWh(8시간 스마트모드) |
149kWh/월 |
기타 | 식물용 LED 30kWh | 30kWh/월 |
비산정 제품들 | 에어컨 케이블TV 셋톱박스 오디오 스마트폰 충전기 노트북 컴퓨터 각종 (거실/부엌) 등류 전자레인지 에어프라이어 비데 |
|
합계 | 427.4kWh/월 |
5) 난방비 절약을 위해 누진2단계 내 전열 기구 추가 검토
사실 오래된 서향 주택이라 단열 미비 등으로 겨울에 가스비가 30~40만원/월 나온 적도 있어서, 일단 누진2단계(201~400kWh) 범위 내에서 전기를 보조로 사용해 보아야겠습니다.
- 12월 기준으로 보면 179kWh에서 누진3단계 400kWh까지 121kWh가 남았으므로, 하루 4kWh만큼 전기 난방을 하면 23,600원/월이 청구되므로, 현재 22도 유지를 위해 거의 20~24시간 가까이 가스난방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면 가스비가 꽤 절약될 듯합니다(이론적으로 가스는 1세제곱미터에 3천원이 넘고 하루에 4~6입방미터를 쓰니까 1입방미터만 줄여도 3천원x30일은 9만원이나 되네요... 맞겠죠?)
- 덧붙여서 이미 모든 창문에 방풍비닐 혹은 뽁뽁이 등을 시공했고 현관문도 리폼키트로 단열하고, NEST 온도조절기를 달아서 0.5도 단위로 난방을 제어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가스보일러를 1등급으로 바꾸는 것은 설치한 지 5년 밖에 안되어서 보류 중입니다.
- 사실 겨울에 실내 22도는 보통 시골에서는 말도 안되게 높은 온도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지금 아무 저항없이 이루어지고 있는 등유/가스비/전기요금 인상이 많은 사람들의 삶의 질을 얼마나 떨어뜨리게 될 지 걱정이 되네요.
네스트로 기록된 난방 시간
6) 일조 시간
일조시간이 짧은 영향은 어느 정도 있겠지만 그 수준은 더 알아봐야겠습니다.
덧붙여서 태양광 발전에 신경쓰다보면 어떤 달은 왜 해뜨는 날이 열흘도 안될까하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됩니다.
7) 기타 주요 내용
클리앙의 글에서 댓글에 주신 글들로 몇 가지 정보를 기반으로 메모해 보았습니다.
- 설치 방향이 정남향이 아니라, 서쪽으로 27도 가량 틀어져 있습니다. 대충 검색해 보면 3~5% 효율이 떨어진다고 합니다.
- 보통 2년 ~ 2년반이면 자부담은 회수가 되고도 남으며 그 후로는 무조건 이득이라고 합니다.
- 인버터는 5~7년 사이에 고장나는 편이고 50만원 정도 추가되는 편이라고 합니다.
- 인버터에 표시되는 발전량은 상당히 정확하다고 합니다. 한전에서 표시되는 발전량은 인버터 표시 발전량보다 작은데, 그 부분은 계량기와 무관하게 댁내에서 소비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태양광패널은 옥상 뿐 아니라 마당에도 설치하는 경우가 있고, 아래 공간을 주차공간, 창고(?) 등으로 활용하는 것을 검토 가능합니다.
- 검색해 보니까, 인버터에서 RS485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원격 모니터링도 구축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알리익스프레스의 RS485 to WiFi가 좋아 보이기는 합니다. ESP8266으로 RS485 to WiFi를 DIY한 분도 있고, RS485 선을 건물 내로 가져온 분도 있네요. 그 전까지는 옥상에 올라가서 인버터 표시창을 직접 확인하거나 파워플래너 앱으로 발전량이 잘 올라가는 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일전에 인버터 표시창을 찍도록 ESP32 Cam을 설치해 보려다가 방수, 돌풍이나 전기 등의 제약조건으로 포기했었습니다. 설치된 인버터는 구.헵시바의 SPC-3500모델인데 RS485가 기본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8) 파워플래너 앱 화면
오늘 한전의 파워플래너 앱으로 본 발전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는 파워플래너 앱에서 월별로 수전/발전을 표시한 것입니다.
한전 파워플래너에서 본 2021.04와 2022.04의 아래쪽 발전량을 보시면, 위 표의 송전량보다 더 많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위 그림에서처럼 한전에서 받은 전기보다 발전해서 보낸 전기가 더 많은 경우, 다음 달 전기요금 계산할 때 그 부분을 빼고 과금하는 것 같습니다.
고지서를 기반으로 추정해 보면 2021년4월에 발전량(송전량)이 가장 많았던 것 같습니다. 293.98kWh에 20개월간 내부 소비 월평균값 163kWh(위 4)의 내용 참고)를 합하면 456kWh가 일일 최대 발전량과 비슷하다고 추정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면 일일 15kWh가 나오고, 3kW짜리로 최대 발전이라면 5시간동안 발전한 셈이 되니까 논리적으로 문제가 없을 듯합니다.
9) 인버터에 표시된 20개월 기간 동안 발전된 양의 월평균 값 = 332kWh/월
기록해 놓은 것이 있어서, 월 발전량만은 알 수가 있었습니다.
- 태양광발전기 제어반(인버터)의 누적발전량 2021년2월28일에 9,924.5kWh, 2022년10월19일에 16,576kWh
- 20개월로 잡고 대략 환산해 보면 월 332kWh가량 나옵니다.
10) 이후에 작성했던 글들 참고
'경험나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일블레이저 에어컨 필터 교환 = 욕 나올 뻔 (3) | 2023.01.27 |
---|---|
시골 주택 난방 개선기 (0) | 2023.01.07 |
시골집 현관문 단열 DIY (0) | 2022.12.07 |
샤오미 에어펌프 공기주입기 분해 수리 (6) | 2022.11.12 |
미세먼지가 나빴던 기간의 공기청정기 효과 검증 (0) | 2018.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