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홈어시스턴트 IoT

가정 내 소비전력 모니터링 - 시하스 PMM-300-Z 지그비

한전의 파워플래너(앱, 웹)로도 볼 수 있긴 하지만 홈어시스턴트의 Energy 메뉴를 써보려고 클램프형 전류 측정기를 구입해 보았습니다. 

 

지그비로 구입했는데, 마침 얼마 전에 Sonoff의 USB타입 지그비 동글을 연결해 둔 상태여서 시하스 PMM-300-Z와 쉽게 연결할 수 있었습니다. PMM-300-Z의 M버튼을 5초간 누른 후 P0000부터 카운트다운을 시작하는데, 홈어시스턴트에서 설정 - 통합구성요소에서 ZigBee를 찾은 후 기기추가를 하시면 됩니다. 

 

구입한 동글 정보
시하스 전력미터 장비가 추가된 모습

실제 설치는 어렵지 않은 편입니다. 다만, 감전되면 위험한 전기를 다루는 것이라서 주차단기를 포함한 모든 차단기를 내리고 장갑도 끼고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설치하기 전의 배전반
PMM-300의 전원은 가운데 차단기의 하단에 연결된 선으로 공급되고, 클램프는 주차단기의 위나 아래에 연결(이왕이면 N이라고 써 있지 않은 쪽에 연결한다는 느낌으로 했습니다. 값이 제대로 안나오면 옆선에 연결하라고 본 거 같네요.)

이제 홈어시스턴트의 "에너지"탭에 입력 값 중 하나를 처리한 셈입니다. 태양광발전도 있지만 RS-485로 연동한 것이 아니라서...  => 2024/07 연결하였습니다. 

 

https://imky.tistory.com/113

 

벨츠에너지 태양광 인버터 RS-485 무선 Elfin EW11 이용 Home Assistant 연결

요즘에는 스마트폰으로 태양광패널(인버터)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지만, 구형 모델의 경우 기능이 없습니다. 간접적으로 "파워플래너"앱을 통해 발전량을 확인할 수는 있습니다(스마트미

imky.tistory.com

 

 

일단 대시보드에는 아래 정보를 표시하게 했습니다. 

 

이 값들 중 Summation 값을 에너지 메뉴에서 추가해주면 됩니다.

에너지 항목의 정보입니다. 

 

설치한 지 몇 시간 안된 상태. 태양광발전량을 넣으면 더 자세한 정보가 나올 것 같습니다.
점심 준비로 인덕션을 사용할 때 올라가는 전력량

사실, 한전의 파워플래너(앱)에서 보여주는 수전량과 발전량은 태양광발전량을 알려주는 것은 아닙니다. 저도 처음에는 잘못 알고 있었던 부분인데, 이 글에도 나왔지만 태양광발전량은 한전에서 측정한 발전량(송전량)보다 더 많습니다. 태양광발전하여 내부 소비 후 남은 전기만 한전으로 보내기 때문입니다. 

 

차단기를 통해 들어온 전력량을 측정하여 아래 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차단기 수전(시하스) 전력량은 파워플래너의 수전과 발전값만으로는 계산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파워플래너의 수전과 발전량이 비슷하다면 전기요금은 없거나 1만원 이하로 나오게 됩니다. 8일과 9일은 비가 와서 발전량이 적습니다. 

 
차단기 수전
(시하스)
파워플래너 사용량(수전)
파워플래너 발전량
자가소비량
(시하스-수전량)
실제 발전량(추정)
7월6일(목)
16.02
8.026
5.146
7.994
13.14
7월7일(금)
14.1
6.709
6.766
7.391
14.157
7월8일(토)
16.26
10.776
0.620
5.484
6.104
7월9일(일)
13.44
9.336
0.264
4.104
4.368
7월10일(월)
14.02
8.633
8.239
5.387
13.626

 

관련 글 

 

https://imky.tistory.com/34

 

3kW 태양광 사용기 - 앞으로 더 이득

* 이 글은 제가 클리앙에 쓴 글을 가져온 것입니다. * 요약 인버터에 표시되는 발전량 특정 20개월(2021.03~2022.10)간 평균한 결과 월발전량은 평균 332kWh/월(일 11kWh 수준 = 3kWh 최대 용량 시 3.6시간 발

imky.tistory.com

https://imky.tistory.com/113

 

벨츠에너지 태양광 인버터 RS-485 무선 Elfin EW11 이용 Home Assistant 연결

요즘에는 스마트폰으로 태양광패널(인버터)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지만, 구형 모델의 경우 기능이 없습니다. 간접적으로 "파워플래너"앱을 통해 발전량을 확인할 수는 있습니다(스마트미

imky.tistory.com